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유문협착증 증상 및 치료 관련 상세 내용

육아정보

by J2web 2023. 9. 22. 09:32

본문

유문협착증 증상 미치 치료 관련해서 상세한 내용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유문협착증이란

 

유문협착증이란 영아비후성 유문협착증이라고도 불리며, 위에서 소장의 첫 부분까지의 입구가 좁아지는 증상을 말하는 것입니다. 이는 아기에게 수유를 한 후에 발사체 구토 증상이 자주 발생하는 것이 대표적인 증상입니다.

 

※ 유문

유문은 십이지장과 연결되는 위의 가장 끝 부분입니다. 이는 위의 몸체에 연결되는 유문과 십이지장에 연결되는 유문관의 두 부분으로 나뉩니다.

 

 

유문협착증 증상 및 치료

 

증상은 일반적으로 생후 2주~12주 정도에 뚜렷이 나타나며, 아기에게 수유를 한 후에 가장 자주 발생합니다.

 

 

 

2. 유문협착증 원인

 

유문협착증의 원인은 현재 불분명한 상태입니다.  하지만 드물게 영아 유문협착증이 상 염색체 우성 질환으로 발생할 수 있다는 얘기도 있으며, 발병 위험 요소로는 제왕절개, 조산, 젖병수유, 첫째 출산의 발병 요소도 있습니다.  발생 비율로 보았을 때, 아기 1,000명당 약 1~2명이 유문협착증이 생기며, 일반적으로 남자 아기가  여자 아기보다 약 4배 정도 더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3. 유문협착증 증상

 

이 질환을 겪고 있는 아기들의 증상은 생후 첫 주부터 6개월까지 구토가 점차적으로 악화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구토는 일반적으로 발사체 구토를 이야기하는 것이며, 일반적으로 구토하는 것보다 더 강력하게 토를 하는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일부 영아는 이런 잦은 구토로 수유 불량 및 체중감소를 보이지만 다른 영아는 정상적인 체증 증가를 보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탈수증으로 아기가 눈물 없이 울기도 하고, 몇 시간 또는 며칠 동안 소변을 보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증상은 대개 생후 3주 ~12주 사이에 시작됩니다. 일반적인 징후는 구토와 지속적인 배고픔, 트림, 산통, 아기가 제대로 먹을 수 없다는 징후로 나타납니다.

 

 

 

 

 

 

4. 유문협착증 진단

 

진단은 심하게 구토를 보이는 어린 영아의 경우 유문협착증을 의심합니다. 신체검사에서 복부 촉진을 통해 상복부 종괴를 발견할 수도 있으며, 비대해진 유문으로 구성된 이 덩어리는 유아에게 분유를 먹인 후에 분명히 확인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유문협착증 진단은 초음파로 진단되며, 30일 미만 영아의 경우 유문관 길이가 15mm 이상, 근육벽 두께가 3mm 이상인 경우 비정상으로 간주됩니다.

 

5. 유문협착증 치료 

유문협착증의 치료는 일반적으로 수술로 관리됩니다. 유문협착증의 위험은 유문협착의 근본적인 문제보다는 탈수 및 전해질 장애가 문제입니다. 

 

※ 전해질 장애 : 전해질 불균형은 체내 전해질 농도의 이상을 말합니다. 전해질은 신체의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는 심장 및 신경 기능, 산소 전달, 체액의 균형 등을 조절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유문협착증의 최종 치료는 수술로 유문근 절제술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오늘날 대부분 복강경 수술(여러 개의 작은 절개/ 절개는 보통 0.5~1.5cm)로 진행됩니다. 복강경 기술은 배꼽 주변의 작은 원형 절개로 상처 감염 위험이 낮은 편입니다.

 

※ 복강경 수술 : 카메라의 도움을 받아 작은 절개를 하여 복부 또는 골반에 수행하는 수술입니다. 

 

 

 

 

 

관련글 더보기